성당약도
본당일정표
HOME > 소식 > 오늘의말씀
 
작성일 : 20-09-18 09:53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2020년 9월 20일)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2,886  
루카 복음에서 주님을 따르는 십자가의 길은 일상입니다. 예수님 말씀에 ‘날마다’라는 말마디가 추가되는 까닭입니다. 특정한 순간의 어려움을 겪는 것이 십자가의 길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살면서 마주치는 수많은 어려움들은, 실제로는 십자가와 무관한 경우가 많지요. 삶의 처세를 위한 고난을 예수님의 십자가와 엮는 것은, 꽤나 부끄러운 일입니다.

무엇보다 십자가는 예수님을 위하고, 예수님께서 위하신 이웃을 향하는 삶에서 시작합니다. 하느님 사랑이 이웃 사랑과 다르지 않다고 수없이 듣고 들어 온 신앙인들에게, 십자가는 낯선 이들과의 연대, 불편한 사람과의 동행, 부조리한 사회에 대한 비판을 겸한 공동체적 삶의 지렛대가 되어야 합니다. 물론 이 모든 것에 앞서서, 뜻이 달라도, 부족하고 어눌하더라도 제 이웃을 사랑하겠노라는 다짐은 십자가를 짊어지기 전에 점검해 보아야 할 삶의 기본입니다.

일상이 녹록하지 않다는 사실은 세상 처음부터 그러하였을 것입니다.원시 시대든, 인공 지능(AI)이 인간을 지배할 것 같은 미래의 어느 시간이든 사는 것이 왜 안 힘들겠습니까. 다만, 시대의 순간순간 함께하는 삶의 이질성에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함께 답할 이웃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이와, 제 삶에만 천착하여 다른 삶에 대한 질문은커녕 제 삶의 의미마저 속세의 천박한 유혹에 저당 잡힌 이들의 간극은 천국과 지옥보다 더 큰 것이겠지요. 십자가의 삶은 타인의 삶 안에서 제 삶의 가치를 깨닫는 이들에게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오늘 우리가 기억하는 한국의 순교자들은 큰 선물을 미리 받은 이들입니다. ‘그들의 희생이 대단하다. 그들의 순교를 감히 누가 따를 수 있겠는가?’ 하는 정도로만 오늘을 기억한다면, 그것은 십자가를 질 마음이 우리에게 없다는 방증입니다. 순교자들을 기억하면서 부러워해야겠습니다. 부러워서 나도 얼른 그 선물을 움켜쥐고 싶어야겠습니다. 십자가를 진다는 것이 설레는 기쁨이 되어야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얼른 이웃을 찾아 나서야겠습니다.
 (박병규 요한 보스코 신부)

 
   
 

캔버라대교구 바티칸 굿뉴스 시드니대교구 대전교구청 젊은이들를위한공간(페이스북)